김선동, 민주당에 상임위원장 배분 요구…외교,통일위 분리되면 '통일위원장' 맡을수도
양영권,변휘 기자2012.05.18 10:48
통합진보당 구당권파가 민주통합당에 통합진보당 몫의 국회 상임위원장 1석을 요구한 것으로 확인됐다. 새누리당이 비교섭단체에게 상임위원장을 할당하는 것에 난색을 표하고 있지만 민주당이 야권연대 차원에서 자신들에게 배정된 상임위원장을 나눠줄 수 있어 통합진보당 구당권파가 국회 입성에 이어 고급정보 취급, 법안 처리에 막강한 권한을 기진 상임위원장 자리까지 차지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박기춘 민주통합당 원내수석부대표는 지난 17일 김기현 새누리당 원내수석부대표와 가진 원 구성 협상에서 비교섭단체 몫의 상임위원장 1 석을 요구했다. 하지만 김 수석부대표가 "전례가 없다"며 반대해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양당 원내수석부대표는 18일 다시 만나 협상을 이어갈 계획이다. 김선동 의원, 野 몫 상임위원장 요구 박 수석부대표는 머니투데이와의 통화에서 "비교섭단체 몫의 상임위원장을 요구한 것은 김선동 통합진보당 당선인의 요구에 따른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총선에서 전남 순천시곡성군 지역구에서 당선된 김선동 의원은 이정희 전 대표, 이석기 당선인 등을 중심으로 한 통합진보당 구당권파가 원내대표로 내세우고 있는 인물이다. 지난해 4.27 재보선을 통해 국회에 진출한 재선 의원이다. 박 수석부대표는 "김 당선인과 만나 요구를 받은 것은 약 일주일 전으로, 통합진보당 비례대표 경선부정 사태가 터진 이후"라고 말했다. 이병길 통합진보당 의정기획실장도 "이번 국회에서 13 석으로 국회에 들어가게 되면 상임위원장 요구가 있어야 한다는 공감대가 당내에 형성됐던 것은 사실"이라며 "하지만 이런 논의를 하려 했던 국회의원 당선인 워크숍이 무기 연기되면서 아직 진척이 안된 상황"이라고 밝혔다. 국회법에 따르면 상임위원장은 국회 본회의에서 선임하지만 보통 원내교섭단체들에게 돌아간다. 하지만 비교섭단체라고 해서 상임위원장을 아예 맡지 못했던 것은 아니다. 16대 국회 때 공동 여당인 자유민주연합에게 상임위원장 2석이 배정됐다. 민주당, 전례 들어 진보당에 위원장 1석 배정 또 18대 국회 후반기에도 자유선진당과 창조한국당이 모여 만든 교섭단체 '선진과창조의 모임'이 해체돼 자유선진당이 비교섭단체가 됐지만 협상 끝에 상임위원장 1석을 차지할 수 있었다. 새누리당이 자신들에게 배정된 보건복지위원장 자리를 선진당에게 양보하는 형식이었다. 민주통합당은 이 같은 사례를 들어 비교섭단체에게 상임위원장을 배정하는 것이 '관례'라는 입장이다. 하지만 김기현 새누리당 수석부대표는 머니투데이와의 통화에서 "18대 국회 전반기에 선진당이 선진과창조의 모임으로 교섭단체를 구성했었고, 후반기에 그게 깨지자 상임위원장 자리를 묵인한 것"이라며 "민주당이 관례라고 들고 나오는 것은 잘못됐다"고 말했다. 여야 협상이 실패한다 하더라도 통합진보당은 '야권연대' 차원에서 민주통합당에게 배정된 상임위원장 자리를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상임위가 18대 국회와 마찬가지로 18개로 유지된다면 야당 몫인 환경노동위원장을 요구할 가능성이 크다. 진보당, 환노위·통일위 위원장 요구 가능성 국회가 복수의 부처를 관할하는 상임위를 분리할 경우 외교통상통일위원회에서 분리돼 통일부를 관할하는 '통일위원회'의 위원장 자리를 요구할 수도 있다. 외통위원장은 여당 몫이지만, 분리할 경우 외교통상 분야 위원장은 여당에게, 통일 분야 위원장은 야당에게 돌아갈 가능성이 크기 때문. 상임위원장에게는 의원회관 사무실과 별개로 국회 본관에 사무실이 주어진다. 여기에 한 달에 1500만 원에 이르는 판공비를 사용할 수 있다. 무엇보다 관련 해당 상임위원으로서 정부의 고급 정보에 접근할 수 있고, 상임위 회의를 주재하면서 각종 법률안과 결의안 통과·폐기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통합진보당의 원내 다수를 차지하는 구당권파가, 그것도 민족해방(NL)계 주사파 운동권 출신이 대북 관련 정보와 법안을 쥐락펴락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못한다는 얘기다. 구당권파가 야권연대에 강한 집착을 보이고 있는 데도 이 같은 계산이 깔려 있다는 지적이다. NL 주사파 출신이 국회 통일위원장? 이석기 당선인은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 나와 "진보당을 둘러싼 색깔공세와 부정 의혹은 야권연대를 파괴하려는 불순한 음모"라고 주장했다. 김미희 당선인도 기자회견에서 "정권교체를 위해 강력한 야권연대를 이뤄야 할 때 우리는 부정선거라는 색안경을 끼고 당권파를 잘라내야 할 암 덩어리, 괴물로 보기 시작했다"라고 밝혔다. 부정 경선 논란의 와중에도 '야권연대'를 유지하겠다는 의지는 명확히 한 것이다. 민주통합당은 공식적으로 야권연대 기조는 변함이 없다는 입장이다. 박용진 대변인은 "통합진보당 사태와 관련해 국민적 실망감과 피로도가 높고 당내 여러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지만 야권연대 기조에 변화가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한 중진의원은 "당내에서 이번 사태로 통합진보당과의 야권연대를 재검토하자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며 "진보당에게 상임위원장을 배분하는 것은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